본문 바로가기

나무

나무

반응형

■ Abeliophyllum(미선나무속) 물푸레나무과(Oleaceae)

 

- 미선나무(Abeliophyllum distichum) 1속1종

   : 관목

   : 열매가 미선(부채) 모양

   : 한반도 고유종. 충북 진천, 괴산

 

■ Abies(전나무속) 소나무과(Pinaceae)

 

- 구상나무(Abies koreana)

   : 제주 방언 쿠살(성게) + 낭(나무) → 구상나무

   : 상록침엽교목. 암수한그루. 천근성

   : 한국 자생종. 남부 고산지대(한라산, 지리산, 덕유산)

   : 학계에서 분비나무로 여기다가 1920년 영국 식물학자 윌슨이 신종이라 발표

   : 잎 끝은 오목하게 두 갈래로 얕게 갈라지고, 솔방울의 비늘 모양 돌기가 뒤로 젖혀진다

   : 나무껍질은 갈라지지 않는다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

- 전나무(Abies holophylla)

   : 상록 침엽 교목. 암수한그루. 음수. 온대림(온대중부/북부)

   : 직파조림 성과는 부진

   : 잎 뒷면에 흰색 기공선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내음)

   : 발아시험 - 6주

   : 울폐된 전나무 숲은 임내 습기가 많고 잎의 가연성이 낮아 산불 위험도 낮음

 

■ Acer(단풍나무속) acer(뾰족한, 날카로운)

    : 북반구 온대지방. 대개 낙엽수종. 시과(날개열매). 날개가 이루는 각도로 식별

 

※ 고로쇠나무(Acer pictum variety mono)

   : 낙엽활엽교목. 암수한그루

   : 나무 이름은 골리수(뼈에 이롭다)에서 유래

   : 골이 얕고 톱니 없는 잎이 마주 난다

   : V자 모양 시과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특용)

 

- 단풍나무(Acer palmatum)

   : acer(뾰족한, 날카로운)+palmatus(손바닥 모양)

   : 낙엽활엽교목. 온대림(온대남부)

   : 장상맥은 5~7개 (간혹 9개)
   : 물기 있는 땅에서 잘 자라고, 건조하거나 볕이 강하면 좋지 않다. 큰 나무 아래 또는 나무들 사이

 

- 복자기(Acer triflorum)

   : 잎자루 하나에 잎 세 장. 1~3개의 큰 톱니. 잎 뒤 맥 위에 가는 털

   : 나무껍질은 세로 줄. 부드럽게 벗겨진다

 

- 신나무(Acer tataricum subspecies ginnala)

   : 색목

 

- 중국단풍(Acer buergerianum) Heirich Buerger(네델란드 식물수집가)

 

■ Aesculus(칠엽수속)

 

- 칠엽수(Aesculus turbinata)

   : 낙엽활엽교목. 천근성

   : 작은잎 5~7장으로 된 손바닥 모양 겹잎

   : 칠엽수는 일본산이며, 유럽산 가시칠엽수를 흔히 마로니에라 부른다. 가시칠엽수 열매는 칠엽수와 달리 가시가 있어 철퇴의 모습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Albizia(자귀나무속)

 

- 자귀나무(Albizia julibrissin)

   : 종자는 실온 저장 가능

 

□ Alnus(오리나무속)

 

※ 사방오리(Alnus firma)

   : 비료목. 사방조림에 적합

 

※ 오리나무(Alnus japonica)

   : 비료목

 

■ Aucuba(식나무속)

 

- 금식나무(Aucuba japonica forma variegata)

 

■ Betula(자작나무속) Birch

 

※ 개박달나무(Betula chinensis)

   : 경기, 강원 북부. 산지

 

※ 박달나무(Betula schmidtii)
   : 온대림(온대북부)

   : 직파조림의 성과는 중간 정도

 

※ 은자작나무(Betula pendula)

   : 내음성 낮음

 

- 자작나무(Betula platyphylla)

   : 낙엽교목. 양수. 천근성. 온대림(온대북부 - 북한(백두산), 만주/시베리아)

   : 천마총 천마문 말다래(장니) 재료. 생장환경 등 자작나무인지 논란이 있었으나 경주박물관 조사에서 수령 40년 전후인 자작나무로 판명

   : 화촉. 기름기가 많은 자작나무 껍질로 불을 밝힌 것에서 유래

   : 발아시험 - 4주

 

■ Buxus(회양목속)

 

- 회양목(Buxus microphylla variety koreana)

   : 음수. 도장나무

 

■ Camellia(동백나무속)

 

- 동백나무(Camellia japonica)

   : 상록활엽교목. 음수. 조매화(동박새). 난대림(남쪽 해안가. 북방 한계는 충남/전북)

   : 아래쪽이 붙은 통꽃이 11월부터 시작해 이듬해 3월까지 핀다. 질 때는 통째로 떨어진다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특용, 내화)

 

■ Carpinus(서어나무속)

 

- 서어나무(Carpinus laxiflora)

   : 음수. 온대림(온대남부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, 내음)

 

□ Castanea(밤나무속)

 

※ 밤나무(Castanea crenata)

 

■ Catalpa(개오동속)

 

- 개오동(Catalpa ovata)

 

■ Celtis(팽나무속) 느릅나무과(Ulmaceae)

 

- 팽나무(Celtis sinensis)

   : 낙엽교목. 암수한그루. 온대림(온대남부)

   : 잎은 곁맥(측맥)이 뚜렷하고 끝부분에만 잔 톱니가 있으며, 어긋나게 달린다

   : 둥근 열매가 초록색으로 나서 황적색으로 익는다

 

■ Cercidiphyllum(계수나무속)

 

- 계수나무(Cercidiphyllum japonicum)

   : 낙엽교목. 암수딴그루

   : 봄에 꽃이 잎보다 먼저 피며, 잎은 하트 모양. 잎도 어린 가지도 마주 난다. 겨울눈은 자홍색

   : 쪽꼬투리열매가 뭉쳐 달린다.

   : 발아시험 - 2주

   :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/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/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/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(윤극영 《반달》)

 

■ Cercis(박태기나무속)

 

- 박태기나무(Cercis chinensis)

   : 비료목

 

■ Cephalotaxus(개비자나무속) 주목과(Taxaceae)

 

- 개비자나무(Cephalotaxus koreana)

   : 상록침엽소교목. 온대림(온대남부. 경기 이남에 자생)

   : 잎은 약 6cm(비자나무는 3cm 정도)이고, 부드러워 끝이 찔리지 않는다. 열매 크기는 2cm이고 대추 모양

   : 회갈색 나무껍질이 얇게 벗겨진다

   : 천연기념물 - 경기 화성 융릉(제504호)

 

□ Chamaecyparis(편백속)

 

※ 편백(Chamaecyparis obtusa)

   : 상록교목. 천근성

   : 비늘잎은 끝이 뭉툭하고 뒷면에는 Y자 모양 숨구멍이 있다. 솔방울열매는 1cm 공 모양

   : 원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, 산림청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수종(경남, 전라, 제주)

   : 발아시험 - 3주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40년(공유림, 사유림), 30년(기업경영림)

 

※ 화백(Chamaecyparis pisifer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비늘잎은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는 나비 모양 숨구멍이 있다. 공 모양 솔방울열매는 편백(Chamaecyparis obtusa)보다 작다

   : 발아시험 - 3주

 

■ Chaemomeles(명자나무속) 장미과(Rosaceae)

 

- 모과나무(Chaemomeles sinensis)

   : 활엽교목

   : 열매가 참외를 닮아 목과(木瓜)라 불리다가 모과로 바뀌었다

   : 봄과 여름 사이에 분홍색 꽃이 피고, 잎 가장자리는 자잘한 톱니 모양

   : 추위에 약해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. 추운 곳에서 기르면 꽃이 나지 않는다

 

■ Chionanthus(이팝나무속) chion(snow)+anthus(꽃)

 

- 이팝나무 (Chionanthus retusa)

   : 천연기념물 - 전남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(제36호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Cinnamomum(녹나무속)

 

- 녹나무(Cinnamomum camphora)

   : 상록활엽교목. 음수. 난대림(제주도)

   : 공해, 추위에 弱

   : 잎/목재에 장뇌 함유

   : 애니메이션 《이웃집의 토토로》

 

■ Cornus(층층나무속) cornu(뿔)

 

- 산딸나무(Cornus kousa)

   : 낙엽교목. 초여름에 흰꽃이 피고, 가을이면 산딸기를 닮은 열매가 붉게 익는다.

 

- 산수유(Cornus officinalis) officinalis(약용)

 

- 말채나무(Cornus walteri)

 

- 층층나무(Cornus controversa)

   : 천근성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- 흰말채나무(Cornus alba)

 

■ Corylopsis(히어리속)

 

- 히어리(Corylopsis coreana)

 

■ Crataegus(산사나무속)

 

- 산사나무(Crataegus pinnatifida)

 

□ Cryptomeria(삼나무속)

 

- 삼나무(Cryptomeria japonic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일본 원산. 난대. 제주 방풍림. 꽃가루

 

■ Diospyros(감나무속) dios(신)+pyros(곡물, 과실)

 

- 감나무 (Diospyros kaki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유실)

 

■ Euonymus(화살나무속)

 

- 사철나무(Euonymus japonicus)

   : 상록활엽관목. 난대림/온대림(온대남부)

 

- 화살나무(Euonymus alatus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Firmiana(벽오동속)

 

- 벽오동(Firmiana simplex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내공해)

 

■ Forsythia(개나리속) William Forsyth(스코틀랜드 원예가, 식물학자)

 

- 개나리(Forsythia koreana)

   : 낙엽활엽관목. 암수딴그루. 대개 삽목하여, 수분 여건 좋지 않아 열매 드뭄

 

■ Fraxinus(물푸레나무속)

 

※ 들메나무(Fraxinus mandshurica)

   : 낙엽교목

 

- 물푸레나무(Fraxinus rhynchophylla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

■ Ginkgo(은행나무속) 긴난(일본어)의 오독/와전

    : Ginkgo biloba 외에는 모두 멸종. 1문1강1목1과1속1종

 

- 은행나무(Ginkgo biloba)

   : biloba(두 갈래로 갈라진 잎)

   : 낙엽교목. 암수딴그루. 양수. 유주

   : 방화(火)수 - 가막살나무, 동백나무, 은행나무

   : 천연기념물 - 경기 양평 용문사(제30호), 서울 종로구 문묘(성균관대 명륜당, 제59호), 충남 금산 요광리(제84호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Hamamelis(풍년화속)

 

- 풍년화(Hamamelis japonica)

 

■ Ilex(감탕나무속)

 

- 감탕나무(Ilex integra)

   : 난대림

 

- 꽝꽝나무(Ilex crenata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- 낙상홍(Ilex serrata)

   : 낙엽활엽관목. 암수딴그루

   :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(serrata)가 촘촘한 잎이 어긋나게 달린다. 나무껍질은 회갈색

   : 졸참나무(Quercus serrata), 느티나무(Zelkova serrata)

 

- 먼나무(Ilex rotund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가을에 익는 붉은 색 핵과는 겨우내 달려 있다.

 

- 호랑가시나무(Ilex cornuta) cornuta(각(angle))

   : 사랑의 열매 모델

 

■ Juglans(가래나무속)

 

- 가래나무(Juglans mandshurica)

   : 낙엽교목

   : 직파조림의 성과가 용이

 

- 호두나무(Juglans regia)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유실)

 

■ Juniperus(향나무속)

 

※ 노간주나무(Juniperus rigida)

   : 상록교목

 

- 눈향나무(Juniperus chinensis variety sargentii)

   : 상록침엽관목. 암수딴그루

   : 50cm 높이로 줄기는 땅에 누워 자란다

   : 대개 비늘잎이나 침엽이 섞여 난다

   : 솔방울열매는 1cm 크기로, 하얀 공 모양에 드문드문 돌기가 있다

 

- 향나무(Juniperus chinensis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딴그루. 온대림(온대중부)

   : 어린 나무의 잎은 침엽이나 8년생 즈음에 비늘잎이 나타난다. 침엽은 세 개씩 돌려나거나, 마주 난다

   : 솔방울열매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

   : 회갈색 줄기가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  : 향나무녹병

      - 담자균. 이종기생녹병균

      - 향나무(겨울포자, 담자포자) → 중간기주(녹병포자, 녹포자). 여름포자 없음

      - 중간기주는 장미과 수목(배나무/사과나무/모과나무/산사나무/팥배나무). 중간기주의 병명은 붉은별무늬병

      - 중간기주와는 2km 이상 거리 확보

 

■ Lagerstroemia(배롱나무속)

 

- 배롱나무(Lagerstroemia indica)

   : 낙엽소교목. 여름내 분홍 - 가끔 붉거나 흰 - 꽃이 한참을 피고 진다. 이름하여 백일홍

 

□ Larix(잎갈나무속)

 

※ 일본잎갈나무(Larix kaempferi)

   : 흔히 ‘낙엽송’이라 부름

   : 소립종자이며 냉건상태로 저장

   : 그물효과로 산사태 방지 효과

    - 나무의 가는 뿌리들이 서로 얽혀 토양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. 측근은 수평으로 자라 지표 가까이에 넓고 얕게 분포.

 

■ Ligustrum(쥐똥나무속)

 

- 광나무(Ligustrum japonicum)

   : 상록활엽관목

 

- 쥐똥나무(Ligustrum obtusifolium)

   : 검게 익은 열매가 마치 쥐똥인 듯하여 붙은 이름

   : 낙엽 활엽 관목. 음수. 내조성. 내한성. 내공해성. 삽목으로 쉽게 번식

 

■ Lindera(생강나무속)

 

- 생강나무(Lindera obtusiloba)

 

■ Liriodendron(백합나무속)

 

- 백합나무(Liriodendron tulipifer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늦은 봄과 초여름에 튤립 모양 꽃이 가지 끝에 핀다

   : 잎은 끝이 잘린 신나무 잎을 닮았고, 톱니 없이 매끈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, 조경) 산림청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수종(경기, 경남, 전라, 충청) 산림청 바이오매스용 수종

 

■ Machilus(후박나무속)

 

- 후박나무(Machilus thunbergii)

   : 상록교목. 난대림

 

■ Magnolia(목련속)

 

- 백목련(Magnolia denudata)

   : 상록교목

 

- 일본목련(Magnolia obovat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늦은 봄 유백색 꽃이 핀다. 잎은 30cm 정도로 태산목(15cm)보다 크다

 

- 태산목(Magnolia grandflora)

   : 상록교목

   : 초여름에 흰꽃이 핀다

   : 잎 뒷면에는 촘촘한 갈색 털

 

■ Metasequoia(메타세쿼이아속) meta(뒤)+sequoia(인디언 추장 이름)

 

- 메타세쿼이아(Metasequoia glyptostroboides)

   : 낙엽교목. 암수한그루

   : 어린 가지와 잎은 마주 난다 (낙우송은 잎이 어긋 난다)

   : 회갈색 나무껍질이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

 

■ Osmanthus(목서속)

 

- 금목서(Osmanthus fragrans variey aurantiacus)

 

■ Paulownia(오동나무속)

 

- 오동나무(Paulownia coreana)
   : 양수.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

■ Picea(가문비나무속)

 

※ 가문비나무(Picea jezoensis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음수. 한대림

   : 솔방울은 달걀 모양

   : 발아시험 - 3주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  : 울폐된 가문비나무 숲은 임내 습기가 많고 잎의 가연성이 낮아 산분 위험도 낮음

 

- 독일가문비(Picea abies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천근성

   : 잎 끝이 뾰족하고, 봄에 강아지꽃 모양의 연노랑 꽃이 핀다

   : 솔방울은 길쭉한 편

 

- 종비나무(Picea koraiensis)

   : 상록교목. 한대림

 

■ Pinus(소나무속) pin(산)

 

- 곰솔(Pinus thunbergii)

   : 일명 검솔(흑송) 또는 해송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양수. 온대림(온대남부)

   : 딱딱한 잎이 두 개씩 모여 달린다. 겨울눈은 회백색

   : 발아시험 - 4주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내공해)

 

※ 리기다소나무(Pinus rigida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

   : 잎은 세 개씩 모여 달린다. 원줄기에 곁가지가 무성하게 난다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3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- 반송(Pinus densiflora forma multicaulis) multi(많은)+caulis(줄기)

   : 반구형 상록 관목이나, 원줄기가 있다. 암수한그루

 

- 백송(Pinus bungeana) Bunge(러시아 식물학자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

   : 딱딱한 잎이 세 개씩 모여 달린다

   : 어린 줄기는 연한 초록. 얼룩진 나무껍질이 얇게 떨어진다

   : 천연기념물 - 서울 종로구 재동 백송(제8호), 서울 종로구 조계사 백송(제9호), 경기 고양시 송포 백송(제60호) 

 

- 소나무(Pinus densiflora)

   : 상록침엽교목. 암수한그루. 양수

   : 부드러운 잎이 두 개씩 모여 달린다

   : 씨앗의 날개에는 줄무늬가 있다

   :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나 나이를 먹으면 흑갈색을 띤다

   : 우리나라 산림에서 소나무-활엽수 혼효림은 활엽수림보다 해발고가 낮은 곳에 많이 나타난다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, 산림청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수종(강원, 경기, 경상, 전라, 충청)

   : 소립종자이며 냉건상태로 저장. 발아시험 - 4주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40년(공유림, 사유림), 30년(기업경영림), 100년(춘양목보호림)

 

- 스트로브잣나무(Pinus strobus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천근성

   : 잎은 다섯 개씩 모여 달리고, 잣나무보다 가늘고 길다.

   : 가늘고 긴 솔방울열매는 흔히 구부러진다

   : 녹갈색 나무껍질은 벗겨지지 않는다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

- 잣나무(Pinus koraiensis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온대림(온대북부)/한대림

   : 잎은 다섯 개씩 모여 달리고, 솔방울 조각은 길게 자라 뒤로 젖혀진다

   :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.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불규칙하게 벗겨진다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50년(공유림, 사유림), 40년(기업경영림)

 

■ Pittosporum(돈나무속)

 

- 돈나무(Pittosporum tobira)

   : 상록관목. 암수딴그루. 난대림

 

■ Platycladus(측백나무속) platy(넓은)+cardus(새순)

 

- 측백나무(Platycladus orientalis, Thuja orientalis)

   : 나무는 대개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하는데 측백나무만은 서쪽을 향하여, 서쪽의 색인 흰색을 나무 이름에 담아 측백이 되었다

   : 오방색 - 동(파랑/청/나무), 서(하양/백/쇠), 남(빨강/적/불), 북(검정/흑/물), 중앙(노랑/황/흙)

   : 상록 침엽 교목. 암수한그루. 겉씨식물. 양수. 원뿔 모양

   : 하나의 비늘잎 허리에서 다른 비늘잎이 갈라져 나는 형태라 가지와 잎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

   : 비늘잎. 편백, 화백과 뒷면이 다르다. 측백나무의 비늘잎 뒷면은 연두색이나, 편백(Chamaecyparis obtuse)은 Y자 흰색 기공선, 화백(Chamaecyparis pisifera)은 잎 뒷면이 흰색. 비늘잎이 포개지는 모양도 서로 달라서 측백나무는 W, 편백은 Y, 화백은 X자 모양

   : 잎의 앞뒤가 다르지 않아 소나무와 함께 선비의 절개를 나타낸다 여겨, 왕릉에는 소나무를 왕족의 능에는 측백나무를 심었다

   : 2cm 정도인 솔방울열매에는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(건빵 별사탕). 처음에는 흰색+연두색이다가 익으면 갈색

   : 회갈색 또는 적갈색 나무껍질이 세로로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벗겨진다

   : 피톤치드 - 측백나무, 편백

   : 천연기념물 - 대구 동구 도동(제1호), 충북 단양 매포 영천리(제62호)

 

■ Poncirus(탱자나무속)

 

- 탱자나무(Poncirus trifoliata)

   : Citrus(귤)속으로 분류하기도 함.

 

□ Populus(사시나무속)

 

※ 미루나무(Populus deltoides)

   : 포플러. 미국(미)에서 온 버드나무(류)

   : 미류나무와 미루나무를 혼용하다가 표준어 규정(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)에 따라 1988년 미루나무를 표준어로 정했다.

   : 낙엽 교목. 암수딴그루. 천근성

   : 어린 가지에 세 갈래로 갈라지는 능선이 뚜렷하고, 잎 밑에 샘물질이 있다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3년(국유림, 공유림, 사유림)

   : 미루나무 꼭대기에 조각구름 걸려있네 / 솔바람이 몰고 와서 살짝 걸쳐놓고 갔어요 (박목월 《흰 구름》)

 

■ Prunus(벚나무속) plum(복숭아, 자두 등 열매의 통칭), prunus(자두)

 

- 매실나무(Prunus mume) ume(매실의 일본어)

   : 꽃을 강조하면, 매화나무

 

- 복사나무(Prunus persica) persica(페르시아/이란)

   : 복숭아

 

- 산벚나무(Prunus sargentii)

   : 나무껍질에는 가로로 검은색 기공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내공해)

 

- 살구나무(Prunus ameniaca)

 

- 앵도나무(Prunus tomentosa)

 

- 왕벚나무 (Prunus yedoensis) edo(일본 지명)

   : 낙엽교목. 봄에 분홍이 감도는 흰 꽃이 나무 전체를 7일 정도 뒤덮는다. 검은색 열매가 초여름에 익는다.

   : 사쿠라. 제주왕벚나무와의 관계는 복잡다단. 현재 결론은 서로 다른 나무

   :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아 가지를 자주 치면 일찍 고사한다

 

■ Punica(석류나무속)

 

- 석류나무(Punica granatum)

 

■ Quercus(참나무속) quer(아름답다)+cuez(나무)

    : Oak. 500여 종. 도토리

    : 갈참나무류(꽃이 핀 해에 종자가 익는다 - 갈참나무, 가시나무, 떡갈나무, 신갈나무, 졸참나무)

        vs. 상수리나무류(꽃이 핀 다음 해에 종자가 익는다 - 상수리나무, 붉가시나무, 굴참나무)

    : 낙엽(갈참나무, 떡갈나무, 신갈나무, 졸참나무) vs. 상록(가시나무, 붉가시나무)

    : 산림청 경제림 조성용 중점 조림 수종(강원, 경기, 경상, 전라, 충청) 산림청 바이오매스용 수종

 

- 가시나무(Quercus myrsinaefolia) myrsine(myrsine속을 닮은)+folia(잎)

   : 상록. 음수. 난대림

   : 종자가 개화한 해에 익는다(갈참나무류)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

- 갈참나무(Quercus aliena)

   : 낙엽교목. 어릴 때는 음수, 자라면 양수

   : 잎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 모양

   : 종자가 개화한 해에 익는다(갈참나무류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※ 굴참나무(Quercus variabilis)

   :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. 잎의 톱니는 침처럼 발달

   : 잎 뒷면에는 단모 + 별 모양 털. 흰색으로 보임

   : 열매 컵의 포린은 길게 발달하며, 열매 성숙에는 2년 걸린다

 

- 떡갈나무(Quercus dentata)

   : dentata(이빨)

   : 낙엽교목. 내조성이 강함

   : 잎은 20cm 정도로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의 둥근 톱니

   : 어린 가지에는 회백색 털이 촘촘하게 난다

   : 종자가 개화한 해에 익는다(갈참나무류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- 붉가시나무(Quercus acuta)

   : 상록. 난대림

   : 종자가 개화한 다음 해에 익는다(상수리나무류)

 

- 상수리나무(Quercus acutissima)

   : 낙엽교목. 암수한그루. 내한성과 내조성은 강하나 내음성은 약함

   : 잎은 15cm 정도로 가장자리에 바늘 모양의 예리한 톱니. 늦은 봄에 잎과 꽃이 동시에 난다

   : 종자가 개화한 다음 해에 익는다(상수리나무류)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, 내공해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- 신갈나무(Quercus mongolica)

   : 낙엽교목. 온대림(온대중부/북부). 내한성과 맹아력이 강함

   : 잎자루가 거의 없는 잎이 어긋 나고, 뒷면에 털이 없다. 가장자리는 뭉툭한 물결 모양

   : 종자는 개화한 해의 가을에 익는다(갈참나무류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- 졸참나무(Quercus serrata) serrata(톱니)

   : serrata(톱니) - 낙상홍(Ilex serrata), 느티나무(Zelkova serrata)

   : 낙엽교목. 내한성과 발아력이 강함

   : 참나무 중에서 잎이 가장 작다

   : 종자는 개화한 해의 가을에 익는다(갈참나무류)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용재)

   : 기준벌기령(23년 6월 개정) - 60년(국유림), 25년(공유림, 사유림), 20년(기업경영림)

 

■ Rhododendron(진달래속) rhodon(장미)+dendron(나무)

 

- 산철쭉(Rhododendron yedoense)

   : 잎이 타원형

 

- 진달래(Rhododendron mucronulatum)

   : 꽃이 먼저

   :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/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/ 울긋불긋 꽃대궐 차리인 동네 /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(이원수 《고향의 봄》)

 

- 철쭉(Rhododendron schlippenbachii)

   : 꽃과 잎이 함께. 잎이 달걀형

 

■ Robinia(아까시나무속)

 

- 아까시나무(Robinia pseudoacacia) pseudo(가짜)+acacia(아카시아)

   : 비료목. 사방조림에 적합

   : 종자는 실온 저장 가능. 발아시험 - 3주

   : 산림청 바이오매스용 수종

 

■ Rosa(장미속)

 

- 해당화(Rosa rugosa)

   : 해당화가 곱게 핀 바닷가에서 / 나혼자 걷노라면 수평선 멀리 / 갈매기 한두 쌍이 가물거리네 / 물결마저 잔잔한 바닷가에서 (장수철 《바닷가에서》)

 

■ Salix(버드나무속) sal(가깝다)+lis(물). willow

 

- 버드나무(Salix koreensis)

   : 낙엽활엽교목. 암수딴그루. 양수. 삽목발근 용이

 

■ Sciadopitys(금송속)

 

- 금송(Sciadopitys verticillata)

   : 상록교목. 암수한그루. 수꽃은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

   : 잎은 두 개씩 합쳐져 있고 두꺼우며, 가지 끝에 수십 개가 돌려 난다. 잎 한가운데에 포도송이 모양 수꽃이 달린다

   : 회갈색 나무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

 

■ Sophora(회화나무속) 콩과

 

- 회화나무(Sophora japonica)

   : 낙엽활엽교목

 

■ Sorbaria(쉬땅나무속)

 

- 쉬땅나무(Sorbaria sorbifolia)

 

■ Sorbus(마가목속)

 

- 마가목(Sorbus commixta)

 

- 팥배나무(Sorbus alnifolia)

   : 잎은 어긋 나고, 가장자리는 겹톱니 (큰 톱니 + 자잘한 톱니)

 

■ Stewartia(노각나무속)

 

- 노각나무(Stewartia pseudocamellia)

 

■ Styrax(때죽나무속) 진달래목(Ericales)

 

- 때죽나무(Styrax japonicus)

   : 온대림(온대중부)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, 내공해)

 

- 쪽동백나무(Styrax obassia)
   : 잎이 둥글고 어긋 난다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Syringa(수수꽃다리속)

 

- 수수꽃다리(Syringa oblata)

 

□ Taxodium

 

※ 낙우송(Taxodium distichum)

   : 낙엽침엽교목. 암수한그루

   : 잎은 어긋 난다. (메타세쿼이아는 마주 난다)

   : 회갈색 나무껍질이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. (메타세쿼이아도 마찬가지)

 

■ Taxus(주목속)

 

- 주목(Taxus cuspidata)

   : 상록침엽교목. 암수딴그루. 음수. 한대림

   : 붉은(朱) 줄기. 원줄기가 뚜렷하고 가지는 땅에 닿지 않는다. 목질이 단단(바둑판, 조각재)

   : 잎은 뾰족하나 찔려도 아프지 않다. 잎 뒷면에는 연초록 기공선 2줄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내음)

 

■ Tilia(피나무속)

 

- 피나무(Tilia amurensis)

   : 온대림(온대북부)

 

■ Ulmus(느릅나무속) Elm

 

※ 느릅나무(Ulmus davidiana variety japonica)

   : 낙엽교목

   : 이른 봄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

   :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고, 시과는 납작한 타원형

   : 발아시험 - 2주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특용)

 

※ 비술나무(Ulmus pumila)

   : 꽃이 닭의 벼슬을 닮아 함경도 방언인 비술이 나무의 이름이 되었다

   : 낙엽활엽교목

   : 중부 이북. 드물게 남부 산지

   : 잎보다 꽃이 먼저 피고, 시과는 둥글고 납작

   : 수액이 나무 줄기에 하얗고 길게 말라 붙는다. 여름이면 나무 아래가 흥건할 정도

   : 천연기념물 - 경북 영양 석보면(제476호)

 

- 참느릅나무(Ulmus parvifolia) parvi(작은)+folia(잎)

   : 잎은 5cm 정도이고, 가장자리는 둥근 톱니 모양

   : 낙엽교목

   : 가을에 꽃이 피고, 열매는 둥글고 납작

 

■ Viburnum(산분꽃나무속)

 

- 가막살나무(Viburnum dilatatum)

   : 가막살이 줄기의 검은 색을 가리킨다고도 하고, 까마귀가 먹는 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

   : 낙엽활엽관목

   :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잎이 마주 나고, 늦은 봄에 흰 꽃이 핀다. 연두색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는다

   : 산분꽃나무속인 덜꿩나무와 닮았으나 가막살나무의 꽃과 열매가 좀더 조밀하다. 덜꿩나무와 달리 턱잎이 없고 잎자루가 더 길다

   : 방화(火)수 - 가막살나무, 동백나무, 은행나무

 

- 백당나무(Viburnum sargentii)

 

■ Zelkova(느티나무속) zelkova(캅카스 지방 식물). 느릅나무과(Ulmaceae)

 

- 느티나무(Zelkova serrata)

   : 낙엽활엽교목. 암수한그루. 양수. 온대림(온대중부)

   : 가장자리가 톱니(serrata) 모양인 잎이 어긋나게 달린다. 낙상홍(Ilex serrata), 졸참나무(Quercus serrata)

   : 열매는 일그러진 공(만두) 모양

   : 3대 정자나무 - 느티나무, 은행나무, 팽나무

   : 발아시험 - 6주
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 

■ Ziziphus(대추나무속)

 

- 대추나무(Ziziphus jujuba)
   : 산림청 조림권장 수종(조경)

반응형

'나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나무 - 환경  (0) 2023.08.20
조림  (0) 2023.07.27
나무 - 낱말  (0) 2023.06.25